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60)
리테일의 미래_2. Untact Retail 온라인 리테일이 지금과 같은 기세로 성장한다면 오프라인 매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우리는 몇몇 사례를 통해 조심스럽게 예측해 볼 수 있다. 안타깝게도 오프라인 매장의 미래상도 온라인 리테일의 강자인 아마존이 만들어가고 있다. '고객에 대한 집착'이라는 경영철학은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할 때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을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16년 12월 시애틀 아마존본사 Day1 빌딩 1층에 오픈한 '아마존고(Amazon Go)' 매장은 3無 매장을 표방한다. 바로①계산을 위한 대기줄 ②지불과정 ③점원이 없다. 그들은 이 매장을 'Just walkout shopping' 이라 칭했다. 아마존은 직원들을 대상으로한 1년의 시험 운영기간을 거친 후 2018.1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오픈했다. 크지 않은 ..
리테일의 미래_1. Voice Shopping (인공지는 쇼핑비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비즈니스가 큰 타격을 입은 요즘 유일하게 전보다 바빠진 분야가 바로 온라인 쇼핑이다. 늘어난 주문으로 인해 쿠팡의 택배기사가 과로사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있었다. 리테일 분야의 큰 흐름 상 온라인, 모바일 쇼핑은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더 큰 모멘텀을 확보했다고 본다. 우리가 하는 대부분의 비즈니스의 종착점은 어찌보면 판매, 즉 커머스이다. 고객과의 최접점에 있기에 소비트렌드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분야이기도 하고, 4차산업을 이끄는 최신 기술을 가장 빠르게 적용해가는 분야도 리테일 비즈니스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우리가 어떤 산업, 어떤 직종으로 일하든 리테일의 미래를 예측해보는 것은 우리가 몸담고 있는 회사의 미래 뿐 아니라 개인의 커리어 측면에..
카카오톡 커뮤니케이션 채널 비교표 어제 카카오톡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글을 썼는데, 한번에 비교해서 보는게 이해가 쉬울 것 같아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혹시 제가 틀리게 알고 있는게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구분 채널메시지 비즈메세지 친구톡 알림톡 브랜드톡(오픈예정) 방식 카카오관리자도구 (앱/웹) 사용 기업고객이 직접 또는 아웃소싱으로 API 활용 발송도구를 구현하여 발송 발송내용 광고성 메시지 발송 가능 (단, 제3자 광고발송 불가) 광고성 메시지 발송 가능 (단, 제3자 광고발송 불가) 정보성 메시지 중 일부만 발송 가능 광고성 메시지 발송가능 (단, 제3자 광고발송 불가) 대상 채널 친구인 이용자 채널 친구인 이용자 (전화번호 정보 필요) 채널 친구여부 관계없음 (전화번호 정보 필요) 채널 친구여부 관계없음 (단,..
브랜드톡: 카카오톡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우리들 모두는 알게 모르게 카카오톡 채널을 쓰고 있다. 모든 사람이 이용한다는 카카오톡 이외에 기업이 고객들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한 카카오톡채널(구 플러스친구) 메세지와 비즈메세지가 있다. 수많은 고객기반을 가지고 있는 카카오답게 지속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템을 발굴하는 한편, 기존의 것들을 업그레이드하면서 확장해나가고 있다. 초반에 기업들이 가장 먼저 이용했던게 카카오 플러스친구(현 채널) 메세지였다. 사업자는 채널을 개설하고 채널 친구를 추가한 고객에게는 광고성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이전에는 문자를 발송했던 것을 채널 메세지로 대신하는 것이다. 문자가 보통 27원 내외인 것에 비해 채널 메세지는 15원이니 대량으로 문자를 보낼땐 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플친메세지의 단점은 고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