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내 인슈어테크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은 이유 인슈어테크는 보험을 뜻하는 Insurance와 기술 Technique의 합성어이다. 핀테크가 IT 기술과 접목된 전반적인 금융산업을 일컷는다면 인슈어테크는 보험에 특화된 영역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인슈어테크란 단어가 가장 많이 회자된 때는 2017~18년 이었다. 정보의 비대칭성에 기반하여 소위 보험 설계사라 불리는 대면 영업채널의 푸쉬형 영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 불신을 캐치한 창업자들은 이쪽에서 기회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고객의 불만이 가장 크다고 느끼는 채널 부문의 고객경험을 개선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다. 설계사와 고객을 연결시켜주는 형태. 당시 서비스 제공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주는 중개 비즈니스 모델을 본딴 플랫폼이 모든 산업영역에서 등장할 때였다. 가사 도우미부터 시작해 변호사, 병원.. 견고한 보험시장에 한발을 집어넣은 플랫폼 ;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 보험은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 재해 등을 입었을 때 그 손실을 보전해 주거나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을 지원해주는 일종의 사회안전망이기에 규제가 많다. 민간회사가 운영하지만 공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규제는 비즈니스를 하는데 각종 제약이 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많다. 상품을 개발할 때도, 그걸 알리거나 판매할 때도 금융위나 금감원 또는 그들을 대행하는 협회의 심의를 받게 된다.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게 아니다. 기존과 다른 상품이나 영업방식을 시도하려면 지난한 설득의 과정이 필요해서 혁신을 하기 어렵다. 그런데, 이런 규제가 한편으로는 진입장벽이 되기 때문에 기존의 플레이어들에겐 든든한 해자가 되기도 한다. 7~8년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던 인슈어테크 기업들 중 현재 남아있는 곳은 거의 없다. .. 이전 1 다음